반응형
SQL (Structured Query Language)
SQL(Structured Query Language)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(RDBMS)에서 데이터를 관리하고 조작하기 위한 프로그래밍 언어입니다.
SQL의 장점
- 표준 언어: 다양한 RDBMS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됩니다.
- 데이터 관리 효율성: 데이터를 빠르고 정확하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.
- 데이터 무결성 유지: 데이터의 일관성과 정확성을 보장합니다.
- 보안 강화: 데이터 접근 권한을 제어하여 보안을 강화합니다.
DDL (Data Definition Language) - 데이터 정의어
데이터베이스 개체(스키마, 테이블, 인덱스, 제약조건 등)를 정의(생성), 수정, 삭제합니다.
구분
|
개념
|
CREATE
|
데이터베이스 개체(스키마, 테이블, 제약조건 등)를 정의(생성)
|
ALTER
|
데이터베이스 개체에 대한 정의를 변경 (컬럼명, 데이터 타입 등)
|
DROP
|
데이터베이스 개체를 삭제
|
DML (Data Manipulation Language) - 데이터 조작어
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검색, 삽입, 수정, 삭제합니다.
구분
|
개념
|
SELECT
|
데이터 조회
|
INSERT
|
데이터 삽입
|
UPDATE
|
데이터 수정
|
DELETE
|
데이터 삭제
|
DCL (Data Control Language) - 데이터 제어어
데이터베이스의 접근 권한을 관리합니다.
구분
|
개념
|
GRANT
|
사용자에게 작업 수행 권한 부여
|
REVOKE
|
사용자에게 부여된 작업 수행 권한 회수
|
BEGIN
|
트랜잭션 시작
|
COMMIT
|
트랜잭션 실행 (INSERT, UPDATE, DELETE 작업 확정)
|
ROLLBACK
|
트랜잭션 취소 (INSERT, UPDATE, DELETE 작업 취소)
※ COMMIT 완료 전 실행, COMMIT 후 실행하면 취소 불가
|
SET TRANSACTION
|
트랜잭션 모드 설정
|
SAVEPOINT
|
무작위로 롤백 지점을 설정
|
LOCK
|
TABLE 등의 자원을 차지
※ TABLE LOCK: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테이블에 접근하여
데이터를 변경할 때 발생할 수 있는
데이터 일관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메커니즘
|
참고 : 위키백과
반응형
'DataBase > Oracl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Oracle] 오라클 UPDATE 방법 및 예제 (기존 데이터 수정) (3) | 2025.08.03 |
---|---|
[Oracle] 오라클 INSERT 방법 및 예제 (신규 데이터 생성) (1) | 2025.07.31 |
[Oracle] 오라클 서브 쿼리 종류 및 사용법, 예시 (스칼라 서브 쿼리, 인라인 뷰, 중첩 서브 쿼리) (4) | 2025.07.29 |
[Oracle] 오라클 테이블 생성 (CREATE, PK, COMMENT) (0) | 2025.07.20 |
[Oracle] 오라클 연습용 데이터 생성 (EMP, DEPT, SALGRADE) (0) | 2025.07.2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