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Network] 초보자를 위한 네트워크 장비별 명칭 및 용도 정리

2025. 10. 30. 23:20·전산/네트워크
반응형
OSI 7계층별 구분
OSI 계층 명칭 전송 단위(PDU) 주요 장비 동작 방식 및 역할
1계층 물리 계층 비트
(Bit)
- 허브
- 리피터
- 데이터의 전기/광학 신호로 변환 및 전송
- 주소 인식 없이 단순한 신호 증폭 또는 분배 (브로드캐스팅)
2계층 데이터링크 계층 프레임
(Frame)
- L2 스위치
- 브리지
- NIC
- MAC 주소 기반으로 프레임 전송
- 오류 검출 및 흐름 제어
- 충돌 도메인 분리
3계층 네트워크 계층 패킷
(Packet)
- 라우터
- L3 스위치
- IP 주소 기반으로 패킷을 목적지까지 라우팅
- 서로 다른 네트워크 연결
4계층 전송 계층 세그먼트
(Segment)
- L4 스위치 - 포트 번호 기반 트래픽 제어
- 세션 분리, 로드 밸런싱
5~7계층 세션~응용 계층 데이터
(Data)
- L7 스위치
- 프록시
- 게이트웨이
- UTM
- 사용자의 요청 내용을 분석하여 세부적인 처리
- URL, 쿠키, 세션 정보 등 활용
- 보안, 인증, 콘텐츠 분배 등 수행

 

주요 장비별 특징 및 활용 방법
구분 동작 계층 기능 도입효과
(더미) 허브 / Hub 1계층 - 연결된 모든 포트에 데이터 전송 (브로드캐스트)
- 최근에 나오는 허브는 리피터의 기능도 수행
- 저렴하게 네트워크 확장
- 성능 저하 및 보안에 취약해짐
리피터 / Repeater 1계층 - 전송 거리가 멀수록 약해지는 신호를 증폭 및 전달
- 디지털 신호를 재생하여 노이즈 제거 및 원래 비트 패턴으로 복원 (아날로그는 단순 증폭)
- 거리 제한이 있는 선을 연장
- 특수한 경우가 아니면 비추천
스위치 / Switch 2계층
3~4계층
- MAC 주소를 학습하여 목적지에만 데이터 전송
- VLAN 설정으로 브로드캐스트 도메인 분리
- 스위치에 따라 STP 설정 가능 (루핑 방지)
- 불필요한 데이터 전송 최소화
- 네트워크 성능 최적화
- 이중화 등 장애 대응 설정 가능
라우터 / Router 3계층 - 다른 네트워크 간의 패킷 전달
- (동일 회사의 다른 지점끼리 통신 수행)
- 경로 선택 및 NAT 기능 수행
- 사내 다른 지점간 통신 수행
- 외부 네트워크 연결(인터넷)
- 보안 정책 적용(ACL 등)
L4 스위치 4계층 - IP 주소 + TCP/UDP 포트 번호 기반 로드 밸런싱
- 동일한 요청이 같은 서버로 전달되도록 세션 유지
- 장애 감지 및 자동 전환
- AP 서버의 부하 분산
- 가용성 확보 및 성능 향상
- 웹 서비스 로그인 세션 유지
L7 스위치 7계층 - 콘텐츠(URL, 쿠키, 사용자 정보) 기반 로드 밸런싱
- SSL 종료, 인증서 처리
- 웹 서비스 운영 시 부하 분산
- 웹 서비스 보안 및 품질 개선
  • VLAN(가상 근거리 통신망) - 하나의 물리적인 네트워크를 논리적으로 여러 개의 네트워크로 분리하는 기술 (이중화, 보안)
  • 브로드캐스트(Broadcast) - 현재 속한 네트워크 전체에 데이터를 전송
  • VLAN(가상 근거리 통신망) - 하나의 물리적인 네트워크를 논리적으로 여러개의 네트워크로 분리하는 기술 (이중화, 보안)
  • STP(Spanning Tree Protocol) - 스위치 간의 중복 링크 중 일부를 논리적으로 차단하여 루핑을 방지하는 기술
  • NAT(Network Address Translation) - 내부 네트워크의 사설 IP를 외부 네트워크의 공인 IP 주소로 변환하여 IP 주소 고갈을 해소하고 및 내부 네트워크 정보를 보호하는 기술
  • 로드 밸런싱 - 네트워크 트래픽을 여러 대의 서버에 고르게 분산시켜 특정 서버에 부하가 집중되는 것을 막고, 전체 시스템의 가용성과 응답성을 최적화하는 기술 (교통정리)
반응형
저작자표시 비영리 동일조건 (새창열림)

'전산 > 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Network] 벽 단자함 (아울렛) 구조 및 설치 방법 (설치, 수리)  (0) 2025.10.31
[Network] 기업용 무선 네트워크(Wi-Fi) 기초 보안 설정 방법 / iptime 공유기 보안 설정 방법 (SSID 숨김, 화이트 리스트, MAC 접근 제어)  (0) 2025.09.13
[Network] 서브넷 마스크(Subnet Mask) 개념 및 비트 예시 정리  (1) 2025.08.25
[Network] IP 주소 클래스 개념 정리 ( A/B/C/D/E Class )  (0) 2025.08.20
[Network] 초보자도 쉽게 따라할 수 있는 홈 네트워크 구축 방법  (4) 2025.08.15
'전산/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  • [Network] 벽 단자함 (아울렛) 구조 및 설치 방법 (설치, 수리)
  • [Network] 기업용 무선 네트워크(Wi-Fi) 기초 보안 설정 방법 / iptime 공유기 보안 설정 방법 (SSID 숨김, 화이트 리스트, MAC 접근 제어)
  • [Network] 서브넷 마스크(Subnet Mask) 개념 및 비트 예시 정리
  • [Network] IP 주소 클래스 개념 정리 ( A/B/C/D/E Class )
알쓸전잡
알쓸전잡
다양한 IT/프로그래밍 등 전산 정보 공유
  • 알쓸전잡
    알아두면 쓸데있는 전산 잡학사전
    알쓸전잡
  • 전체
    오늘
    어제
  • 반응형
    • 분류 전체보기 (96) N
      • 문서 (8)
        • 엑셀 (8)
        • 한글(hwp) (0)
        • Tip (0)
      • 전산 (38) N
        • 기초 (1) N
        • 네트워크 (9)
        • 정보보안 (0)
        • Windows (22) N
        • PC (3)
        • AI (3)
      • DataBase (24) N
        • Oracle (19) N
        • Oracle Error (5)
      • 서버 (4)
        • IIS (4)
        • UNIX (0)
      • 웹 개발 (22)
        • HTML (9)
        • Classic ASP (8)
        • JavaScript (3)
        • Tool (2)
  • 블로그 메뉴

    • 홈
    • 태그
    • 방명록
  • 인기 글

  • 최근 글

  • hELLO· Designed By정상우.v4.10.5
알쓸전잡
[Network] 초보자를 위한 네트워크 장비별 명칭 및 용도 정리
상단으로

티스토리툴바