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IP주소를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로 구분하는 방법으로 클래스(Class) 라는 개념을 사용합니다.
클래스를 구분하는 이유는 IP주소는 한정된 자원이므로 아껴 쓰기 위해서 만들어졌으며, 하나의 네트워크에서 몇 개의 호스트 주소를 가질 수 있는지에 따라 클래스를 5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.
클래스 구분

| 구분 | 최상위 비트 |
첫번째 옥텟 IP |
IP 범위 | 호스트 수 | 네트워크 수 | 블록 (서브넷 마스크) |
| Class A | 0 | 0 ~ 126 | 0.0.0.0 ~ 127.255.255.255 | 16,777,214 | 128 | /8 (255.0.0.0) |
| Class B | 1 | 128 ~ 191 | 128.0.0.0 ~ 191.255.255.255 | 65,534 | 16,384 | /16 (255.255.0.0) |
| Class C | 11 | 192 ~ 223 | 192.0.0.0 ~ 223.255.255.255 | 254 | 2,097,152 | /24 (255.255.255.0) |
| Class D | 111 | 224 ~ 239 | 224.0.0.0 ~ 239.255.255.255 | N/A(268,435,456) | N/A | |
| Class E | 1111 | 240 ~ 255 | 240.0.0.0 ~ 255.255.255.255 | N/A(268,435,456) | N/A | |
※ 흔히 A, B, C 클래스만 사용하니 3가지만 확실하게 개념 숙지하면 됩니다.
A 클래스 (Class A)

- 단일 네트워크가 가질 수 있는 호스트 수가 가장 많은 클래스
- IP주소를 바이너리(2진수)로 표시하면 맨 앞자리 숫자가 항상 0
- 실제 A 클래스로 사용할 수 있는 주소는 1.0.0.0 ~ 126.255.255.255
- 127.x.x.x 의 경우 자신을 의미하는 루프백(Loopback) 주소로 사용되므로 일반적으로 미사용
- 네트워크 및 브로드캐스트 주소로 사용되는 IP 주소를 호스트 주소에서 제외하지만, 가용 호스트가 많아서 큰 의미 없음
B 클래스 (Class B)

- IP주소를 바이너리(2진수)로 표시하면 맨 앞자리 숫자 두자리가 항상 10
- 실제 B 클래스로 사용할 수 있는 주소는 128.0.0.0 ~ 191.255.255.255
- 네트워크 및 브로드캐스트 주소 사용으로 2개의 IP 주소를 호스트 주소에서 제외
- 128.0.0.0/16 IP 대역의 경우, 네트워크 주소 128.0.0.1 부터 128.0.255.254 까지 사용 가능
네트워크 주소
- 각 서브넷에서 첫 번째 주소를 의미
- B 클래스에서 첫 번째 주소는 128.0.0.0
브로드캐스트 주소
- 각 서브넷에서 마지막 주소를 의미
- B 클래스에서 마지막 주소는 각 서브넷의 마지막 주소
- 예시) 128.0.255.255, 129.0.255.255, 190.255.255.255
네트워크 및 브로드캐스트 주소 제외 예시
- 128.0.0.0/16 IP 대역 사용 시 (서브넷 마스크 255.255.0.0)
- 네트워크 주소 - 128.0.0.0
- 브로드캐스트 주소 - 128.0.255.255
- 네트워크 및 브로드캐스트 주소 제외 후 128.0.0.1 부터 128.0.255.254 까지 사용 가능
C 클래스 (Class C)

- IP주소를 바이너리(2진수)로 표시하면 맨 앞자리 숫자 세자리가 항상 110
- 실제 B 클래스로 사용할 수 있는 주소는 192.0.0.0 ~ 223.255.255.255
- 네트워크 및 브로드캐스트 주소 사용으로 2개의 IP 주소를 호스트 주소에서 제외
- 기본 24비트 서브넷 설정 시 사용 가능한 IP 는 x.x.x.1 ~ x.x.x.254
- (네트워크 주소 x.x.x.0, 브로드캐스트 주소 x.x.x.255 제외)
참고: https://catsbi.oopy.io/f565e8c1-34c6-4b61-be61-e1ab04fc51fb
반응형
'전산 > 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[Network] 기업용 무선 네트워크(Wi-Fi) 기초 보안 설정 방법 / iptime 공유기 보안 설정 방법 (SSID 숨김, 화이트 리스트, MAC 접근 제어) (0) | 2025.09.13 |
|---|---|
| [Network] 서브넷 마스크(Subnet Mask) 개념 및 비트 예시 정리 (1) | 2025.08.25 |
| [Network] 초보자도 쉽게 따라할 수 있는 홈 네트워크 구축 방법 (4) | 2025.08.15 |
| 캐논(Canon) 프린터 네트워크 공유 시 출력이 멈추는 증상 원인 및 해결 방법 / 루핑처럼 핑이 끊기는 경우 (3) | 2025.07.30 |
| [Network] 초보자를 위한 랜선(LAN Cable, UTP) 만드는 방법 / CAT.5e, CAT.6 (일반, 관통형) (0) | 2025.07.28 |
